정보자료실

응급상황 대응지침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31회 작성일 21-10-27 13:02

본문

대응지침

 

응급상황 발생 시 최초발견자는 비상연락 후 현장조치를 취합니다.

증상확인-119구급대 요청-현장조치-의료기관 이동

 

응급상황 대처요령

1. 심폐소생술

 

갑작스럽게 심장이 마비되었거나 사고로 인해 폐와 심장의 활동이 멈추게 되는 때에 심장, , 그리고 그 외의 장기에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다. 호흡이 정지 되거나 심장 이 멈추게 되면 46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을 실시하여야 한다.

반응이 없다고 판단되면 심장마비 상황이라고 생각하고, 119에 도움을 요청하고,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작해야 한다.

 

 

의식확인

가볍게 어깨를 두드리며 큰소리로 "여보세요, 괜찮으세요?"라고 말한 다음 반응을 살 핀다. 반응이 없으면 심장마비의 가능성이 높다.

구조요청

대상자가 아무런 반응이 없고 의식이 없으면 의료진이나 동료직원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119신고

119에 신고할 때에는 환자 발생 장소, 발생 상황, 환자의 상태 그리고 하고 있던 응급처치에 대하여 설명해야 한다.

호흡확인 및 유지.

기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눈으로 가슴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관찰한 후에도 호흡이 없거나 공기의 흐름이 느껴지지 않으면, 우선 환자를 바르게 눕힌 후 입안의 이물질 (부러진 치아나 구토물 등)을 제거한다.

인공호흡

환자가 숨을 쉬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인공호흡을 실시한다.

 

기도유지 열기

머리기울임-턱들어올리기 방법을 사용하여 기도를 개방 한다.

머리기울임-턱들어올리기는 한 손으로 환자의 머리가 뒤로 기울어지게 하면서, 다른 손의 손으로 아래턱의 뼈 부분을 머리 쪽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기도가 열리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때 턱 아래 부위의 연부조직을 깊게 누르면 오히려 기도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한다. 기도가 열리면 환자의 입을 열어 입-입 인공호흡을 준비한다.

-입 인공호흡법

이마를 누르면서 턱을 들어 기도를 유지한 다음 환자의 입을 벌린다.

환자의 코를 막고 자신의 입을 환자의 입에 밀착시킨다.

공기를 서서히(2)불어 넣는다.

잡았던 코를 놓고 입을 떼어 불어넣은 공기가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가슴압박

인공호흡을 한 후에도 심장이 뛰지 않는다면 흉부(가슴)를 압박한다.

환자는 바닥이 평평하고 단단한 곳에 수평자세를 취하게 한다.

압박할 위치 위에 한손을 올려놓고 그 위에 다른 손을 올려놓거나 깍지를 낀다.

- 흉부압박 위치

, 우의 갈비뼈가 만나는 곳에서 두 손가락 넓이만큼 위쪽이 정확한 위치 이다.

- 흉부 압박을 가하는 자세

흉골의 하부 1/2에 한손을 올려놓고 그 위에 다른 손을 겹쳐서 깍지를 껴서

손가락이 흉벽에 닿지 않도록 한다.

팔꿈치를 곧게 펴고 어깨와 손목이 팔과 일직선이 되게 한다.

흉골 위에 수직으로 구조자의 제중을 실리도록 한 다음 압박해야 한다.

 

- 흉부압박을 가하는 방법

흉부가 압박되는 깊이는 가슴이 4~5cm정도 함몰되도록 압박한다.

압박하는 속도는 1분에 100회 정도이다.

압박과 이완의 비율은 50:50정도가 바람직하다

2. 질식(기도폐쇄)시 응급대처

 

대상자는 저작기능 약화, 반사기능 약화 등으로 사탕, 고기, 땅콩, 떡 등을 삼키다가 질식이 자주 나타난다. 질식은 발견 즉시 신속히 처리해야 하는 응급상황이므로 전직원이 질식에 적절히 대처하는 방법을 미리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1) 증상확인

 

부분 기도 폐쇄 시

기도가 부분적으로 막힌 경우, 대상자는 기침과 말을 하며 안전부절하는 행동을 나타낸다. 얼굴과 입술이 파랗게 변하는 청색증은 나타날 수 있으나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완전 기도 폐쇄 시

기도가 완전히 막히는 완전 기도 폐쇄 시에는 대상자는 말을 하지 못하면서 양손(또는 한손)으로 목을 쥐는 형태가 나타나면서 얼굴과 입술이 파랗게 변하는 청색증이 나타난다.

 

기도를 막고 있는 이물질을 빼내기 위해 의식이 있는지 없는지 여부에 따라 하임리히법을 시행해야 한다. 하임리히법을 시행하면서, 즉시 응급구조대(119)로 연락을 취함

 

. 음식 섭취 시 질식 상태가 되면 입안의 음식물을 빨리 꺼낸다.

. 구개 반사 요법을 시행한다(설압자를 사용하여 구토를 유도).

. 손바닥으로 어깨뼈 사이에 있는 등 부분을 세게 때려 이물질이 올라와 기침으로 뱉어 낼 수 있도록 한다.

. 위 방법으로 뱉어 내지 않으면 하임리히법을 적용한다.

. 바로 산소흡입을 할 수 있는 장소로 옮긴다.

. 호흡곤란 시 산소를 제공하고 119에 연락한다

 

부분 기도 폐쇄 시 (하임리히법)

첨부파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2021 © 사암노인복지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