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자료실

치매예방 및 관리지침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41회 작성일 21-10-27 13:05

본문

치매란

치매는 그 자체가 뇌손상에 의해 기억력을 위시한 여러 인지기능의 장애가 생겨 예전 수준의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치매는 일단 정상적으로 성숙한 뇌가 후천적인 외상이나 질병 등 외부 원인에 의하여 손상 또는 파괴되어 전반적으로 지능, 학습, 언어 등의 인지기능과 고등 정신기능이 떨어지는 복합적인 증상을 말한다.

치매의 종류

알츠하이머병

뇌에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이 침착하여 생긴 노인성 신경반과 타우 단백질이 과인산화 되면서 결합한 신경섬유다발로 불리는 비정상물질이 뇌에 축척하여 세포의 기능이 마비됨으로써 발생함.

혈관성 치매

뇌혈관이 터지거나 막혀 산소와 영양분의 공급이 차단되어 뇌세포가 손상되면서 생김.

알코올 치매

장기간 지속된 과음이 알코올 치매의 원인입니다. 알코올 자체의 독성에 의해 치매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고, 알코올 섭취로 인한 비타민 B1 결핍이 원인인 경우도 있습니다

루이체 치매

여러 종류의 치매 중 루이체 치매와 파킨슨병 치매는 특징적으로 '파킨슨 증상'이라 불리는 움직임의 장애가 같이 나타납니다

전두측두엽 치매

두측두엽 치매는 전두엽이나 측두엽의 앞쪽에서부터 진행되는 치매입니다.이 부위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말을 이상하게 하거나, 참을성이 없어지거나, 판단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초로기 치매

원인 질환에 상관없이 치매가 65세 이전에 발병한 것을 초로기 치매라고 합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65세 미만의 치매환자는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2015년에는 전체 치매환자 중 초로기 치매가 15% 가량을 차지한다고 합니다

치매의 증상

 

다음의 10가지 경고 증상이 있으면 치매를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경고 증상이 있을 때에는 미루지 말고 전문의(정신과 또는 신경과의사)를 찾아 상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할 정도로 최근 일에 대한 기억력 상실이 있다.

언어사용이 어려워졌다.

시간과 장소를 혼동한다.

판단력이 저하되어 그릇된 판단을 자주한다.

익숙한 일을 처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돈 계산에 문제가 생겼다.

물건 간수를 잘못한다.

기분이나 행동에 변화가 있다.

성격에 변화가 있다.

자발성이 감소되었다.

인지장애

- 기억력 저하

약속을 잊거나 물건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수일전 또는 수주일 전의 일에 대한 단기 기억력 저하가 먼저 생기고 병이 심해지면서 장기 기억력 저하가 온다.

 

- 언어능력저하

언어 구사 능력이 저하되며 대화 중 적절한 단어가 떠오르지 않아 말문이 자주 막히고 말수가 현저하게 감소한다. 말은 짧고 자주 끊어지며 내용이 빈약하다. 앞뒤가 맞지 않는 이해할 수 없는 말을 한다. 타인의 이야기를 이해하는 능력이 저하되어 엉뚱하게 이해하거나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만다.

 

- 지남력 저하

시간개념이 떨어져 날짜, 요일, 시간을 자주 착각하여 실수한다. 심하면 낮과 밤을 구분하는 것도 어려워진다. 오랫동안 지내던 집도 자신의 집이 아니라고 부인하고 가족의 얼굴을 보고 알아보지 못 하기도 하다.

 

- 시공간 파악능력 저하

공간개념이 떨어져 자주 다니던 곳에서도 길을 잃고 헤매게 되고 집 안에서 화장실과 안방을 구분하지 못 하는 경우도 있다.

 

- 실행기능 저하

옷매무새가 흐트러져 지저분한 인상을 준다. 자신의 위생 상태에 관심이 없어지고 이전에 하던 집안일도 하지 못하게 된다. 옷을 혼자서 입을 수 없어 도움이 필요하게 된다.

 

행동심리 증상

- 우울증

말수가 줄고, 의욕이 없으며 우울한 기분을 표현한다. 식욕이 감소하며 잠을 지나치게 많이 자거나 못 자는 등 수면양상이 변화한다. 자살에 대한 생각이 증가하여 자살을 시도하기도 한다.

 

- 정신증

정신병적 증상으로 망상, 환청, 환시가 나타난다. 다른 사람이 자신의 것을 훔쳐 갔다는 주장을 하는 등 각종 의심이 증가하며 돌아가신 부모님이 집 밖에 와 계시다는 등 착각이 증가한다. 방 안에서 혼자 누군가와 대화를 나누거나 손짓을 하는 등의 증상을 보인다. 매우 당황해하고 불안해하거나 공포에 휩싸여 예기치 못한 행동을 보인다.

 

- 초조 및 공격성

쉽게 불안해하거나 이유없이 자꾸 서성거리고 한자리에 오래 앉아 있지 못하며 초초한 것처럼 행동한다. 고집스럽고 이기적이며 논쟁적이고 자주 화를 내기도 하며 한 번 화를 내며 걷잡을 수 없이 폭발적으로 나타나며 잠시 후에는 아무 일이 없다는 듯이 조용해 진다.

 

- 수면장애

얕은 잠을 자고 자주 깬다. 밤에 배회하고 그 여파로 낮잠을 지나치게 자며 이로 인해 낮과 밤이 뒤바뀌는 경우가 많다.

- 기타 증상으로 물건을 모아 숨기거나 침을 뱉는 등의 행동을 보인다.

 

치매 단계별 주요 증상

단계

주 요 증 상

초기

일주일 내의 중요한 사실을 기억하지 못함

사람이나 물건의 이름이 잘 떠오르지 않음

시간과 장소를 기억하지 못함

중기

오전에 경험한 중요한일을 오후에 기억하지 못함

옷 입기 등 익숙한 일이 서툴러짐

불안, 초조, 피해망상, 도둑망상의 증상이 나타남

말기

시간과 장소에 대한 기억이 완전히 없어짐

자식과 배우자도 몰라봄

식사, 대소변을 스스로 해결 못하고 의사 표현 불가능

 

치매의 예방

 

(1) 치매 예방을 위한 행동 수칙

손을 자주 움직이게 한다.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게 한다.

되도록 혼자 있게 하지 말고 타인과 가까이 지내게 한다.

주기적으로 걷거나 운동을 하게한다.

노화 방지를 위해 가급적 소식을 하게 한다.

비만을 치료한다.

당뇨병이 있는 경우 당뇨약이나 인슐린을 사용하면서 혈당을 조절한다.

고지혈증 및 혈압을 조절한다.

심장병이 있는 경우 혈관성치매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계속 치료한다.

기억장애, 언어장애가 있는 경우 빨리 검사를 받게 한다

 

(2) 치매 예방 프로그램

11시간씩 손 체조, 발 체조를 하게하고 걷는 운동을 실시한다.

수시로 다른 어르신들과 같이 있도록 유도한다.

첨부파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2021 © 사암노인복지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