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질환 예방지침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39회 작성일 21-10-27 12:54본문
근골격계질환 예방 지침
Ⅰ. 근골격계 질환의 이해
1. 근골격계 질환의 정의
과도한 힘의 사용, 부자연스런 작업 자세, 반복적인 동작, 신체에 대한 날카로운 물체의 충격, 진동 및 온도 등의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건강장해를 말한다.
특히 근육, 신경, 혈관, 관절, 인대 등의 미세한 손상 발생을 보이며 주로 목, 어깨, 팔, 손목, 손가락, 허리, 다리 등에 나타나는 건강장해이다.
2. 근골격계 질환 발생원인
근골격계 질환은 반복적인 동작 등과 같은 직업적인 원인과 종사 근로자의 개인적인 특성(체력, 숙련도 등) 및 심리적 특성 그리고 업무량, 업무시간, 업무스트레스 등 촉진 요인 등이 상호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1) 직접적 요인
- 과도한 힘과 국소저긴 신체에 가해지는 압력
- 부자연스런 작업 자세
- 단순 반복 동작
- 낙상과 미끄러짐
2) 개인적 요인
- 심리적 요인
- 개인적 특성(체력, 숙련도, 경력, 신체적 특성 등)
3. 근골격계 질환 증상
근골격계 질환 증상은 매우 다양하며 구분하기가 애매한 경우가 많지만, 특히 통증, 자극반응의 민감함, 근력 저하, 부어오름, 감각저하 등의 증세를 보이게 된다. 이러한 증세는 본인 스스로 인지할 수 있는데 통증의 정도와 기간, 반복되는 횟수에 따라 그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증상의 기준 : 일주일 이상 증상이 지속되거나 과거 1년간 한 달에 한번 이상 증상이 반복되는 경우)
4. 부위별 질환의 증상
1) 목과 어깨 부위 : 잘못된 자세, 외부의 충격, 과도한 스트레스 등으로 어깨근육이 긴장되어 굳 어지면서 근육의 특정부위에 압통, 연관통, 팔부위의 방사통, 목부위 운동제 한,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2) 팔관절과 손목 부위 : 반복적으로 과도하게 사용하면 작은 충격이 근육과 힘줄에 계속 무리를 주어 발생한다. 팔꿈치에 엄지손가락을 아래로 누르면 팔꿈치에 통증이 느껴진다.
3) 손과 손가락 부위 : 손바닥과 손가락이 감각저하, 저리 감각, 통증, 근력약화 등의 특징으로 엄 지, 둘째, 셋째 손가락, 넷째 손가락 반쪽부위 및 이들 손가락과 연결된 손 바닥에 증상이 나타난다.
ㆍ손목을 지나치게 굽히거나 제낄 때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ㆍ엄지손가락의 운동 기능장애(물건을 자주 떨어뜨리거나 젓가락질에 장애)가 발생한다.
ㆍ밤에 통증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어 밤잠을 설치는 경우가 혼합되며 손을 털게 되면 저림과 통증 이 일시적으로 완화된다.
4) 허리부위
ㆍ부적절한 자세로 장기간 척추에 무리가 가해짐으로써 발생한다.
ㆍ등쪽 허리와 골반 부위 통증과 다리의 앞, 옆, 뒤로 뻗치는 방사통
ㆍ감각이상과 근력악화(허리디스크가 삐져나와 신경이 눌린 부위 다리에 발생)
ㆍ활동을 하거나 오랜 시간 앉아 있는 경우에 통증이 악화된다.
ㆍ밤에 증상이 악화된다.
5)무릎과 다리부위
ㆍ날씨나 활동의 정도에 따라 좋아지기도 하고 악화되기도 하는 증상이 반복된다.
ㆍ아침에 일어나면 관절이 뻣뻣해지는 경직현상이 나타난다.
ㆍ통증이 초기에는 경미하게 나타나다가 몇 년에 걸쳐 점차 심해지며, 운동 시 악화되고 쉬면 좋 아진다.
첨부파일
- 근골격계질환예방지침.hwp (615.5K) 0회 다운로드 | DATE : 2021-10-27 12:54:3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